[서버네트워크](35)
-
Arista 의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의 고급 기술
아리스타(Arista) 장비에서 지원하는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 관련 보완된 기술은 다양한 고급 기능과 확장된 프로토콜을 포함합니다. 이는 스위칭 네트워크에서 루프를 방지하고 네트워크 안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시스코의 EtherChannel과 같은 기술처럼, 아리스타는 고급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과 함께 네트워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여러 기술을 제공합니다.아리스타에서 지원하는 스패닝 트리 관련 기술:RSTP (Rapid Spanning Tree Protocol):RSTP는 빠른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로, 기존의 STP보다 훨씬 빠르게 네트워크를 재구성하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경우 더 신속하게 새로운 경로를 선택합니다.STP의 느린 수렴 시간을 개선한 프로토콜로, 기본 스패닝 트리 프로토..
2024.10.08 -
LACP 부하분산 및 지연불일치
**LACP(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는 여러 개의 물리적인 링크를 **하나의 논리적 링크**로 묶어, 이 링크들 간에 **부하 분산(load balancing)**을 수행합니다. 이는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키고, 단일 링크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네트워크가 지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유연성과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 부하 분산(Load Balancing)이 발생하는 상황: 부하 분산은 LACP에서 여러 물리적 링크가 **동시에 활성화된 상태**에서 발생하며, 각 링크에 데이터 트래픽이 분산되어 전송됩니다. 그러나 LACP에서의 부하 분산은 **트래픽을 균등하게 분산**하지 않으며, 주로 **해시 기반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특정 기준에 따라 트래픽을 ..
2024.10.07 -
네트워크 장치가 다를 경우 링크를 살리기 위한 자동협상 방법
서로 다른 장치가 자동 협상 방식이 다를 때, 네트워크 링크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로 **속도(speed)**와 듀플렉스(duplex) 모드가 문제의 원인이 되므로, 이들을 수동으로 설정하거나 양쪽 장치에서 일관된 설정을 적용해야 합니다.해결 방법:1. 양쪽 장비에서 수동 설정하기가장 확실한 방법은 양쪽 장치에서 속도와 듀플렉스 모드를 동일하게 수동 설정하는 것입니다. 자동 협상이 실패하는 경우, 일관된 설정을 통해 통신이 가능해집니다.예를 들어, 한쪽 장비에서 속도와 듀플렉스를 1Gbps, Full-Duplex로 설정했다면, 반대쪽 장비에서도 동일하게 1Gbps, Full-Duplex로 설정해야 합니다.설정 방법은 네트워크 장비의 인터페이스 설정에서 할 수 있으며..
2024.10.07 -
패킷 최대 사이즈 MTU 와 관련된 ICMP, TCP의 역할
`DF(Don't Fragment) 비트`가 **0**으로 설정된 상태에서는, **TCP 프로토콜** 자체가 MTU를 줄이는 과정을 직접 수행하지는 않습니다. 대신, **IP 계층**에서 MTU 조정과 관련된 처리가 이루어집니다. 이 과정은 IP 패킷이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면서 MTU보다 큰 패킷을 처리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 1. **MTU와 IP 패킷의 분할** - **MTU(Maximum Transmission Unit)**는 네트워크 장치나 경로 상에서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크기**를 의미합니다. - **TCP**는 세그먼트를 만들어 **IP 계층**으로 전달하고, IP 계층은 이 세그먼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패킷 크기로 나눕니다**. 이때, 패킷의..
2024.10.07 -
MAC주소 중 첫번째 바이트의 숨은 진실
**U/L 비트와 L/G 비트**가 네트워크 상에서 **서비스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려면, 이 비트들이 어떻게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지 예시를 통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비트는 **네트워크 동작 방식**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전송 방식, 통신 상대, 데이터 처리 방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1. **U/L 비트 (Universal/Local 비트)**가 미치는 영향: **U/L 비트**는 **MAC 주소가 전역적으로 관리된 것인지, 지역적으로 관리된 것인지**를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비트가 실제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은 주로 **MAC 주소의 설정 방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 예시 1: 전역적으로 관리된 MAC 주소 (U/L 비트 =..
2024.10.07 -
PUTTY로 HOSTNAME 변경하기
SSH 접속(WLAN 무선 로컬 네트워크 내 해당 장치의 사설 IP로 접속) 후, enable 설정 모드 Ma1 = 관리용 장치 = 해당 라우터 즉 OOB(OUT OF BIND)장치이고, 해당 라우터에서 부여받은 사설IP주소가 Ma1의 IP주소로 할당받은 것. *각 네트워크 장비마다 Ma 관리용 장치가 1개 2개 등등 다름. 해당 장치에 연결된 장치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해당 포트 구멍에 어떤 장치들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고자 했음)그런데 show active 결과 해당 장치에서 활성화 된 장치는 1개만 출력 됨. 해당 장치에 연결된 장비들이 또 있는가? 를 확인하는 다른 명령어(해당 스위치 MySwitch에는 연결된 장치가 Management1 밖에 없음) ++ 장비 재부팅 후에도 같은 HOS..
2024.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