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P 실습
1. ztp disable : 초기 설정 비활성화
- 네트워크 장비(스위치)를 첫 부팅 할 때부터 비활성화 할 경우, 자동으로 설정을 변경하는 것 방지하고 관리자가 직접 접속하여 필요한 설정을 수동으로 구성하여 설정 덮어씌기 방지할 수 있음
2. configure terminal , en : 설정 모드
- 설정 모드로 전환
3. show spa , show spannig-tree mode rstp
- 스패닝트리 상태(모드, 루트스위치, 루트포트, forwarding 상태) 확인
- 스패닝트리 모드 변경
spanning-tree mode rstp
'특정 단어가 출력됐는지' 만 확인하는 명령어
show running-config | include rstp
LLDP(Link Layer Discovery Protocol)를 통해 네트워크 장비와 연결된 이웃 장비들의 정보를 표시하는 명령어
네트워크 장비들이 자신과 연결된 다른 장치들에게 자신의 정보를 자동으로 광고하는 프로토콜로, 주로 네트워크의 물리적 토폴로지를 파악하는 데 사용
show lldp neighbors 명령어로 제공되는 정보
- 이웃 장비 ID: 연결된 장비의 이름 또는 MAC 주소.
- 로컬 인터페이스: 내 장비에서 이웃 장비가 연결된 포트.
- 이웃 포트 ID: 이웃 장비에서 사용되는 포트 번호.
- TTL (Time-to-Live): 이웃 정보가 만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초 단위).
==> 직접 연결된 장비들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주며, 네트워크의 구조를 파악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매우 유용
-----------------------------------------------------------------------------------------------------------------------------------------------------------------
[alternate 포트가 root 포트로 변경되는 여러 상황 테스트]
1. 네트워크 내 연결 상태 변경된 상황
1-1) 스위치 셧다운 경우
Ping 테스트는 루트 포트 변경 시 네트워크 연결의 가용성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며, 스위치 간 경로 재설정 중에 패킷 손실이나 지연 시간을 모니터링
여기서 스위치 6,7번 은 PC라고 보면 된다.
6번 스위치->7번 스위치로 ping을 찍고, BPDU 메시지와 패킷이 전송되는 과정을 와이어 샤크로 확인할 예정이다.
현재 루트 스위치는 0번 스위치(vEOS)이고, 루트 포트는 vEOS의 Eth1이다.
vEOS 의 Eth1 는 forwarding 상태, vEOS의 Eth2는 blocking 상태
여기서 ping 테스트를 통해서, 1초 간격으로 1만 핑을 보낸다.
ip add 1.1.1.2/24
위와 같은 명령어로 6번 스위치에 ip주소를 1.1.1.2로 부여하고, 아래와 같이 ping을 보내는 것.
그러면 ip주소가 1.1.1.1인 7번 스위치에서 송수신 처리되는 패킷들을 실시간으로 살펴볼 수 있다.
쭉 패킷이 왔다갔다 하는 것들(핑크색)을 살펴볼 수 있는데, 갑자기 spanning-tree 만 뜨고 더이상 핑크색은 안뜨는 걸 살펴볼 수 있다.
그 이유는 ping 보내던 것을 멈췄기 때문이다. 이때는 실제로 데이터가 송수신 되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show spanning-tree로 상태를 살펴보면, forwarding 상태가 아니라,,? (ping 테스트 정지)
2. 트래픽 초과 상황
트래픽이 특정 포트에 몰리거나 장애가 발생할 때, Root 포트가 변경되는지 혹은 차단된 경로가 활성화되는지를 테스트하여 네트워크 안정성을 평가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