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9. 30. 14:04ㆍ[서버네트워크]
고객사의 요청에 따라 장비를 설정해야 한다. 포트에 추가하고 싶은 장비, 혹은 ip주소(+서브넷마스크) 등.
초기 설정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putty에 접속한다.
speed = 9600 이 가장 최적화된 속도(기본값)
초기에는 장비에 ip주소가 할당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ip주소 할당을 위해서 '장치관리자'에서 해당 장비의 포트 주소?(COM3)를 입력해서 연결
(좀 아래에 나옴)
cf) COM3 = MAC주소가 아닌 LAN카드에 따라 숫자가 다른 것.
ping 192.168.0.1 => 해당 게이트웨이와도 연결이 됐는지 ping 명령어 통해 확인
(네트워크 장치인 스위치도 내 노트북도 같은 게이트웨이에 속했기 때문에 같은 네트워크 내부 통신 속도 확인 필요, 같은 무선인터넷 내 통신 속도 확인 필요)
IP주소 부여 시, 서브넷 마스크 를 같이 지정해야 하는데, /24 or 255.255.255.255 로 부여해줘야 함.
(장치마다 /24가 안되거나 다를 수 있음)
공인 IP가 아닌 사설IP를 지정한 것이고, 로컬 네트워크 내에 부여된 사설IP는 엑셀로 관리하고 있음. 각 사설IP들은 공인IP로 변경해주는 NAT 역할을 하는 라우터 내에서 적용되는 IP주소들임.
'[서버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주소 중 첫번째 바이트의 숨은 진실 (0) | 2024.10.07 |
---|---|
PUTTY로 HOSTNAME 변경하기 (1) | 2024.09.30 |
서비스 요청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응답 (2) | 2024.09.24 |
10월 1주차 과제 요약 (2) | 2024.09.23 |
IP헤더 자동협상 (2) | 2024.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