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IP 모델의 각 계층 별 데이터처리과정

2024. 9. 9. 18:11[서버네트워크]

네트워크 장비들은 TCP/IP 모델의 각 계층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며,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어떻게 전달되고, 어떤 장비에서 처리되는지에 대한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네트워크 구조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각 네트워크 장비는 특정 계층에서 데이터를 캡슐화, 전송, 라우팅, 필터링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1. 모뎀 (Modem): 물리 계층 및 데이터 링크 계층

처리 과정:

  • 신호 변환: 모뎀은 디지털 신호(컴퓨터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다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이 작업을 통해 컴퓨터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합니다.
  • 인터넷 연결: 모뎀은 DSL, 케이블, 광섬유 등의 통신 매체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됩니다.

처리 과정 요약:

  1. 컴퓨터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2. ISP로 신호를 전송.
  3. ISP에서 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다시 디지털로 변환하여 컴퓨터로 전달.

2. 스위치 (Switch): 데이터 링크 계층

처리 과정:

  • 프레임 전달: 스위치는 MAC 주소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내에서 프레임을 전달합니다. 이는 주로 같은 네트워크(LAN) 내의 장치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됩니다.
  • MAC 주소 테이블: 스위치는 연결된 장치들의 MAC 주소를 기록하여 목적지 MAC 주소를 확인하고, 해당하는 포트로 프레임을 전달합니다.

처리 과정 요약:

  1. 각 장치의 MAC 주소를 기억(MAC 주소 테이블).
  2. 프레임이 들어오면 목적지 MAC 주소를 확인.
  3. 해당 MAC 주소가 있는 포트로 프레임을 전달.

3. 라우터 (Router): 네트워크 계층

처리 과정:

  • 패킷 전달: 라우터는 IP 주소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간에 패킷을 전달합니다. 각 패킷이 올바른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라우팅 테이블을 사용하여 경로를 결정합니다.
  • 경로 설정: 라우터는 경로 선택 알고리즘을 사용해 최적의 경로를 찾습니다. 이 과정에서 내부 네트워크외부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집니다.

처리 과정 요약:

  1. 패킷을 받아 IP 헤더에서 목적지 IP 주소 확인.
  2.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해 최적의 경로 결정.
  3. 패킷을 해당 네트워크로 전달.

4. 방화벽 (Firewall): 네트워크 계층 및 전송 계층

처리 과정:

  • 트래픽 필터링: 방화벽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석하여 허가된 트래픽만 통과시키고, 허용되지 않은 트래픽을 차단합니다. 이 과정은 패킷 필터링을 통해 이루어지며, 출발지 및 목적지 IP 주소, 포트 번호, 프로토콜 등을 기반으로 트래픽을 제어합니다.
  • 보안 정책: 방화벽은 보안 규칙을 적용해 네트워크 침입공격을 방지합니다.

처리 과정 요약:

  1. 들어오는 패킷의 IP 주소, 포트 번호, 프로토콜을 분석.
  2. 보안 규칙과 비교하여 허가된 트래픽만 통과.
  3. 비허가 트래픽을 차단.

5. 허브 (Hub): 데이터 링크 계층

처리 과정:

  • 데이터 브로드캐스팅: 허브는 모든 연결된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데이터가 들어오면 연결된 모든 포트로 전송되며, 이로 인해 효율성이 떨어지고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허브는 단순한 물리적 연결 장치로, 데이터를 구별하지 않고 단순히 전달합니다.

처리 과정 요약:

  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
  2. 모든 포트로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트.

6. 게이트웨이 (Gateway): 모든 계층

처리 과정:

  • 프로토콜 변환: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LAN과 WAN 간에 데이터가 주고받아질 때 프로토콜이 다르면 게이트웨이가 이를 중재합니다.
  • 네트워크 통합: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 경계를 넘어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되며, 다른 네트워크 환경(IPX에서 TCP/IP로 변환 등) 간의 통신을 담당합니다.

처리 과정 요약:

  1.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프로토콜을 변환.
  2. 데이터를 변환하여 다른 네트워크에 전달.

데이터 처리의 전체 흐름 예시: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1.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요청합니다(HTTP 요청).
  2. 이 요청은 응용 계층에서 **전송 계층(TCP)**으로 내려가고, TCP 헤더가 추가됩니다(세그먼트 생성).
  3. **네트워크 계층(IP)**에서 IP 헤더가 추가됩니다(패킷 생성).
  4.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MAC 주소 기반의 프레임이 만들어집니다.
  5. 스위치MAC 주소를 기반으로 프레임을 전달합니다.
  6. 라우터IP 주소를 확인하고 패킷을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합니다.
  7. 도착지에 도달한 데이터는 역캡슐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웹페이지로 렌더링됩니다.

요약:

  • 각 네트워크 장비는 TCP/IP 모델의 계층에 맞는 데이터 처리 역할을 담당합니다.
    • 모뎀: 신호 변환(물리 계층).
    • 스위치: 프레임 전달(MAC 주소 기반, 데이터 링크 계층).
    • 라우터: 패킷 전달(IP 주소 기반, 네트워크 계층).
    • 방화벽: 트래픽 필터링 및 보안(네트워크/전송 계층).
    • 허브: 모든 포트로 데이터 브로드캐스트(구식, 데이터 링크 계층).
    •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변환 및 네트워크 간 중계(모든 계층).

각 장비는 자신의 계층에서 데이터를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