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9. 9. 12:35ㆍ[서버네트워크]
TCP/IP, DNS, HTTP/HTTPS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각각 어떻게 순차적으로 작동하는지 정확하게 설명해드릴게요.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이들 프로토콜이 협력하여 데이터를 요청하고 전달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
1. DNS (Domain Name System):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
먼저,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웹사이트의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이 도메인 이름을 해당 서버의 IP 주소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처리 순서:
-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www.example.com을 입력합니다.
- DNS 요청: 웹 브라우저는 이 도메인의 IP 주소를 알기 위해 먼저 **로컬 캐시(컴퓨터나 라우터에 저장된 DNS 기록)**를 확인합니다. 캐시에 없다면, DNS 서버에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를 요청합니다.
- DNS 응답: DNS 서버는 해당 도메인에 대한 IP 주소를 반환합니다. 예를 들어, www.example.com에 대한 IP 주소가 93.184.216.34라면, 이 IP 주소가 브라우저에 전달됩니다.
DNS 단계 완료: 이제 브라우저는 www.example.com을 해당 IP 주소로 변환하여 알게 되었습니다.
2.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데이터 전송 준비
이제 브라우저는 DNS에서 받은 IP 주소를 사용하여 웹 서버와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게 됩니다.
처리 순서:
- TCP 연결 설정: 브라우저는 해당 IP 주소(예: 93.184.216.34)와 3-way 핸드셰이크라는 과정을 통해 TCP 연결을 설정합니다. 이 과정은 데이터 전송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장하는 단계입니다.
- SYN(Synchronization) 패킷: 브라우저가 서버에 연결 요청을 보냅니다.
- SYN-ACK(Acknowledgment) 패킷: 서버가 요청을 수락하며 응답합니다.
- ACK(Acknowledgment) 패킷: 브라우저가 최종적으로 응답하며 연결이 성립됩니다.
- IP 프로토콜: IP 주소를 통해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 전송 경로가 설정됩니다. 이제 브라우저는 웹 서버와 IP 주소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준비가 된 상태입니다.
TCP/IP 단계 완료: 이제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연결이 성립되었고, 데이터가 전송될 준비가 되었습니다.
3. HTTP/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Secure): 데이터 요청 및 응답
이제 TCP/IP 연결이 완료되었으므로, 실제로 웹 페이지를 요청하고 그 데이터를 가져오는 역할은 HTTP/HTTPS 프로토콜이 담당합니다.
처리 순서:
- HTTP/HTTPS 요청: 브라우저는 HTTP 요청을 보냅니다. 이 요청은 주로 웹페이지(HTML), 이미지, CSS, JavaScript 등의 리소스를 요구하는 메시지입니다.
- HTTP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지만,
- HTTPS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안성을 높입니다. SSL/TLS 인증서를 통해 서버와의 통신이 암호화됩니다.
- 서버 응답: 웹 서버는 HTTP/HTTPS 요청을 처리하고, 요청된 데이터를 브라우저에 전송합니다. 웹페이지가 HTML로 작성된 경우, 서버는 이 HTML 파일을 반환하고, 그 외에도 이미지, CSS 파일, JavaScript 파일 등을 함께 전달합니다.
- 브라우저 렌더링: 브라우저는 서버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사용해 웹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합니다.
HTTP/HTTPS 단계 완료: 서버로부터 요청한 데이터를 받은 브라우저는 사용자에게 웹페이지를 렌더링합니다.
요약: 세 가지 프로토콜의 처리 순서
- DNS 프로토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 (www.example.com → 93.184.216.34)
- TCP/IP 프로토콜: 변환된 IP 주소로 브라우저와 서버 간 연결 설정 및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 HTTP/HTTPS 프로토콜: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나 리소스를 요청하고 데이터를 수신
이러한 프로토콜들이 순차적으로 협력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도메인 이름을 바탕으로 웹페이지를 열어주는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 IP: 데이터의 경로를 설정하고, 패킷을 목적지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가 이동할 경로를 담당합니다.
- TCP: 데이터가 올바른 순서로 안전하게 도착하도록 관리합니다.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며, 패킷 손실 시 재전송 등을 처리합니다.
결국, IP가 먼저 경로를 설정하고, 그 경로를 통해 TCP가 안정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보장하는 구조입니다. 둘은 협력하여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안정적으로 전달합니다.
'[서버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우터/프로토콜의 차이 (1) | 2024.09.09 |
---|---|
모뎀/라우터 (0) | 2024.09.09 |
TCP/IP (0) | 2024.09.09 |
[네트워크 표준] (0) | 2024.09.09 |
[TCP/IP] 네트워킹 소개, 특성, 유형 (0) | 2024.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