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상태 모니터링
2024. 12. 6. 11:10ㆍ[서버네트워크]
- FCS: 주로 이더넷 프레임의 무결성을 점검하며, show interfaces 명령어로 확인.
- TX/RX: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송수신 상태를 확인하며, show interfaces 또는 ifconfig로 접근.
- Ping: FCS/TX/RX를 직접 확인하지는 못하지만 네트워크 연결 문제를 탐지하는 첫 단계로 활용.
- 트러블슈팅: Ping → Interface 상태 확인 → 세부 분석(Wireshark, Log)으로 진행.
1. FCS
show interfaces counters errors
FCS: FCS(Frame Check Sequence) 오류 개수
프레임이 수신되었지만 데이터가 손상되었거나, 무결성 검사를 통과하지 못했음을 나타냅니다.
FCS 오류는 일반적으로 물리적 또는 데이터 링크 계층 문제와 관련이 있습니다.
1) 케이블 문제 : 이더넷 표준 길이 100M초과 여부, 케이블 상태 점검
2) 포트 속도/듀플렉스 설정 불일치 : 양쪽 장비인 송신(TX)와 수신(RX) 장비 간 속도 및 듀플렉스 설정 불일치 여부 확인(아래 명령어 참고하여 확인 후, 불일치 경우 직접 수동 설정)
show interfaces <interface_name> status
3) 노이즈 또는 간섭 문제
4) 네트워크 카드 또는 장비 하드웨어 문제
5) 버퍼 오버플로우 또는 과부하
6) CRC 오류 포함 여부 확인
show interfaces <interface_name> | include CRC
* 정확한 문제 진단을 위한 추가 명령어 : show logging
CRC(cyclic redundancy check) 알고리
- FCS는 CRC 알고리즘의 산출물입니다:
- 송신 측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CRC 알고리즘을 사용해 FCS 값을 계산하고, 이를 이더넷 프레임의 마지막에 추가합니다.
- 즉, FCS 값 자체가 CRC 알고리즘의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수신 측에서는 CRC를 다시 계산하여 FCS 값을 검증:
-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 측은 데이터 내용과 동일한 CRC 알고리즘을 사용해 FCS 값을 계산합니다.
- 수신된 FCS 값과 새로 계산된 FCS 값을 비교합니다:
- 값이 일치하면: 데이터가 전송 중 손상되지 않았음을 의미.
- 값이 불일치하면: 데이터가 손상되었거나 오류가 발생했음을 의미하며, 이를 **"CRC 오류"**라고 부릅니다.
2. 송신(TX) 및 수신(RX)
송신(TX) 및 수신(RX) 상태는 Arista 장비에서 트래픽 카운터나 인터페이스 상태로 확인
show interfaces counters
- RxBytes: 수신된 총 바이트 수
- TxBytes: 전송된 총 바이트 수
- RxFrames/TXFrames: 수신/전송된 패킷(프레임) 수
- CRC errors: FCS 오류를 포함한 CRC 관련 문제
'[서버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CP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1) | 2024.12.16 |
---|---|
ACL(Access-list) (0) | 2024.12.06 |
BPDU 메시지는 전기적 신호(L1)로 전송된다? (0) | 2024.10.22 |
트랜스패런트 브리징에서 MAC주소테이블의 역할 (1) | 2024.10.21 |
트랜스패런트 브리징의 FLOODING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LOOP (0) | 2024.10.21 |